기획서 3

게임 기획서를 잘 작성하는 방법 - 누가 볼 문서인가? (4)

이번 글에서는 연관되게 전달하는 법에 대해 적어보았다.우리는 연관된 것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가까이 있다는 것에 대해, 관계에 대해 이미 알고 있다.내가 앞에서부터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들을 글로 적고 있는데, 왜 그럴까?다들 "문서" 라는 것은 어떤 현실과 동떨어진, 추상적인 개념으로만 구성된 실체 없는 무언가로만 인지하기 때문에, 명확한 방식으로 문서를 작성하지 않기 때문이다.그리고 이 당연한 규칙이 잘 지켜지지 않기 때문이다.위 사진을 보자, 가까운 곳에 한복을 입은 남자와 여자가 있다.각양 각색의 사람들이 서로 가까이 붙어 있다.각각의 사람들과, 서로 관계 있는 사람들, 구분 되는가?서로간의 거리감을 통해, 관계를 알 수 있으며, 완전히 붙어있는 모습을 통해 하나의 존재로..

게임 기획서를 잘 작성하는 방법 - 누가 볼 문서인가? (3)

지난 번에는 전체를 먼저 설명하고 세부적인 것들을 설명해야하는 이유에 대한 글을 적었다.이번 글에서는 사람이 눈으로 중요도를 느끼는 부분에 대하여 작성하겠다.나는 이 방법을 미술 교육을 배운 직장 동료와의 대화로부터 인지할 수 있었다.문서는 무엇인가?문서는 생각을 글이나 기호 따위로 담아낸 것이다.글이나 기호를 모르는 사람이나 동물이 종이로 된 문서를 보면 이것이 무엇이라고 해석할까?단순히, 특이하게 생긴 종이, 즉, 내용이 아닌, 전체적인 모습, 상(이미지)로서만 받아들일 것이다.문서는 이미지의 하위 범주이다.그렇다면, 사람은 어떻게 이미지(=시각 정보)를 얻는가?일반적인 경우, 사람은 자신의 두 눈을 통해, 눈에 보이는 것들(이미지)을 해석한다.사람의 눈은 2개이기에, 양 시야를 통해 거리감을 느낄 ..

게임 기획서를 잘 작성하는 방법 - 누가 볼 문서인가? (2)

앞선 나의 글에서는 문서의 앞에서는 뒷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사전 지식을 전달해야 한다는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이번 글에서는 한 가지 예시를 통해, 어떤 순서로 설명을 해야 효과적으로 사전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해보겠다.나는 기획서 작성이 서투른 기획자들에게 "코끼리의 생김새를 설명해 보라"는 예시를 즐겨 사용한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코끼리를 설명해 보라는 나의 요구에, 대체로 코끼리의 부분적인 특징들을 설명하기 시작한다.코가 깁니다. 마치 뱀의 몸통과도 같습니다.어금니는 뾰족하고 길게 납니다.다리는 통나무처럼 굵습니다.귓바퀴는 엄청 커서 펄럭입니다.꼬리는 밧줄처럼 얇습니다.어떤가? 코끼리의 특징을 잘 말했는가?이제, 코끼리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위의 설명을 듣고 머릿속에 코끼리라는 ..

반응형